금본위제
금본위제란 각국의 통화가치를 순금의 일정한 중량으로 정해 놓고 금화의 자유로운 주조와 수출입을 허용하며 이를 지페나 예금통화 등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
- 금본위제하에서 각국 통화는 금의 중량을 기준으로 그 가치가 정해져 있으므로 통화간 교환비율은 금을 통하여 고정되며 따라서 금본위제는 전형적인 고정환율제도이다.
- 1800년대 영국의 금본위제 도입을 시작으로 독일, 네덜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덴마크, 프랑스, 일본 등 주요 국가들이 금본위제를 채택하였다.
- 금본위제는 금의 국제수지 및 국내물가 자동 조절기능을 통해 국제금융 및 세계경제의 발전에 공헌하였으나 1차 세계대전 이후 주요국들이 과다한 전비지출로 말미암은 인플레이션과 정치적 불안 등의 문제에 직면하면서 이들 국가를 중심으로 제도의 유용성에 대한 의문이 높아졌다.
- 특히 전후 영국이 과대평가된 파운드화의 가치로 인한 막대한 실업과 수출산업의 침체를 겪고 이어서 독일의 초인플레이션, 세계 대공황 등이 발생함에 따라 영국은 1931년 금본위제를 포기하고 변동환율체제로 전환하면서 금본위제는 결국 붕괴하였다.
출처: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Economic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공개(IPO; intitial Public Offering) (0) | 2021.11.02 |
---|---|
금산분리 (0) | 2021.11.01 |
국채 (0) | 2021.10.31 |
국가신용등급(sovereign credit rating) (0) | 2021.10.26 |
공매도(short selling) (0) | 2021.10.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