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채란 정부가 다양한 목적의 재정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을 말한다. 국채는 자금 용도에 따라 국고 채권, 재정증권, 국민주택채권 및 보상채권으로 나누어지는데 국고채권이 국채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 국고채권은 주로 국가 재정에 필요한 자금(적자재정시 재원)을 조달하기 위해서 국채법에 의해 발행되는데 만기는 3년, 5년, 10년, 20년 30년 50년(안정적인 재정자금 조달, 국채 만기 포트폴리오의 다양화를 목적으로 2016. 10월 도입 )등 6가지 종류로 구성되며 경쟁입찰방식으로 발행된다.
- 국고채권의 원활한 소화 및 시장조성을 위해 국채자기매매업무 취급 금융기관(은행, 증권사, 종합금융회사) 중 국고채권 인수 및 유통 실적이 우수한 금융기관을 국고채 전문딜러로 선정, 운영하고 있으며, 미국의 primary dealrer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 재정증권은 재정부족자금의 일시 보전을 위해 국고금관리법에 의해 발행되는데 만기는 1년 이내지만 실제로는 3개월 이내이며 경쟁입찰방식으로 발행된다.
- 국민주택채권은 국민주택건설 재원조달을 위해 주택도시기금법에 의해 부동산 등기 및 인허가와 관련하여 의무적으로 매입하도록 하는 첨가소화 방식으로 발행되며 만기는 5년이다.
- 보상채권은 공공용지 보상비 마련을 위하여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에 의해 당사자앞 교부방식으로 발행되며 만기는 5년 이내지만 실제로는 3년 만기로 발행한다.
출처: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요즘 연일 국채 금리가 뜨겁다. 알다가도 모르겠고 개념도 참 아리송하다. 단순히 국가가 발행한 채권이라고 하는 것은 참 단순한 정의인데, 국채 금리가 오르고 내림에 따라 주는 영향력은 심플한 정의와는 다르게 너무 복잡하게 돌아간다는 생각이 든다. 책을 읽고도 국채 금리에 대해 상당히 이해를 못했던 기억이 난다. 그렇다고 지금도 온전히 이해하기는 어렵다. 실제로 조금 투자를 해봐야 확 와닿을 거 같단 생각도 든다. 내 돈이 달려있는 일엔 이렇게 무심하기 어려우니 말이다.
최근 2021년 10월 29일 경제기사를 보면, 당국 개입 하루 만에 국채금리가 또 급등했다고 한다. 최근 인플레이션 압박과 조기 긴축 우려에 연고점 행진을 이어온 국고채 금리가 전날 당국의 개입에 하락하며 숨을 고른 듯했으나, 투자심리가 좀처럼 살아나지 않아 채관 시장은 강제 전환 하루 만에 다시 약세로 돌아섰다고 한다.
이게 도대체 무슨 말인지 아는 사람있는가. 미국의 10년 물 국채금리가 상승하면 인플레이션 상승 신호로 받아들이고, 이에 따라 주식시장에도 상당히 악영향을 미쳤다. 아직은 국채금리에 대해 알듯 말듯해서 공부가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국채금리의 상승이 인플레이션의 상승과 연관 있다는 것까지는 이해가 되지만 그 이후의 후속 반응에 대해서는 어설프게 알 뿐 바로 판단하지 못하는 것을 보면 말이다.
'Economic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산분리 (0) | 2021.11.01 |
---|---|
금본위제 (0) | 2021.11.01 |
국가신용등급(sovereign credit rating) (0) | 2021.10.26 |
공매도(short selling) (0) | 2021.10.25 |
공급탄력성 (0) | 2021.10.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