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에 따르면, 고용률은 통계청에서 매월 작성하고 있는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집계된 15세 이상인구(노동가능인구)에 대해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한편 실업률은 경제활동 인구 중에서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 고용률은 실업률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고용통계에서 중요한 개념이다.
- 고용통계에서 취업준비자와 구직단념자는 실질적인 의미에서 실업자이나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되고 있음에 따라 이들이 늘어나면 실업률이 낮아질 수 있어 체감하는 실업률과 차이를 느끼게 한다.
(고용률(%)=취업자/15세 이상 인구x100, cf. 실업률(%)=실업자/경제활동인구x100) - 고용률은 15세 이상 인구를 기준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간의 이동 등에 따른 경제활동인구수 변동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 다만 고용률도 근로시간이 18시간 미만인 단시간근로자 및 일시휴직자 등 불완전취업자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국민들이 체감하는 고용상황과 차이를 보일 수 있다.
'Economic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통지수 (0) | 2021.10.20 |
---|---|
고정금리 (0) | 2021.10.18 |
경상수지 (0) | 2021.10.16 |
경기동향지수 (0) | 2021.10.15 |
[기본경제 용어] 가산금리(스프레드) (0) | 2021.10.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