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블딥
경기가 두 번(double) 떨어진다(dip)는 뜻으로, 경기침체가 발생한 후 잠시 경기가 회복되다가 다시 경기침체로 접어드는 연속적인 침체 현상을 의미한다.
- 더블딥(double dip)은 2001년 미국 모건스탠리사의 이코노미스트였던 로치(S. Roach)가 미국 경제를 진단하면서 처음 사용한 용어로, 경기순환의 모습이 영문자 "W"를 닮았다 해서 "W"자형 경기변동(또는 "w"자형 불황)이라고도 한다.
- 일반적으로 경기침체는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보이는 경우를 말하므로 더블딥은 경기침체가 발생하고 잠시 회복 기미가 관측되다 다시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에 빠지는 것이다.
- 1980년대 초 있었던 미국의 경기침체가 더블딥의 예로 자주 거론된다.
- 당시 미국경제는 석유파동의 영향 등으로 1980년 1월부터 7월까지 침체에 빠졌으나 이후 1981년 1/4분기까지 빠르게 성장하였는 데,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제압하기 위하여 금리를 빠르게 올림에 따라 1981년 7월부터 1982년 11월까지 다시 불황에 빠지는 경기침체를 경험한 바 있다.
출처: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Economic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플레이션(deflation) (0) | 2021.12.09 |
---|---|
대체재 (0) | 2021.12.07 |
대외의존도 (0) | 2021.11.15 |
단기금융시장(money market) (0) | 2021.11.11 |
낙수효과 (0) | 2021.11.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