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제
비슷한 만족을 얻을 수 있어 서로 경쟁 관계에 있는 재화 또는 서비스를 말한다.
- 핫도그와 햄버거, 스웨터와 셔츠처럼 어느 한 제품이 다른 제품을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을 때 이 두 제품은 서로 대체관계에 있다고 한다.
- 두 제품 중 어느 한 제품의 가격 상승이 다른 재화의 수요 증가를 초래할 때 이 두 제품의 서로 대체관계에 있다고 한다.
- 비싸진 삼겹살 대신 닭고기를 구매햇다면 이들 두상품은 서로 대체재이다.
- 다만, 이 같은 구분은 사람들의 평균적인 소비행태에 기초한 것이므로 사람에 따라서는 다르게 느낄 수도 있다.
출처: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2021. 12. 7일 자 경제 뉴스를 보면, 중대형 오피스텔이 아파트 대체재로 떴다고 한다. 아파트 공급이 줄어들고 청약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오피스텔이 대체재로 각광받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정부가 주거용 오피스텔의 바닥난방 허용 기준을 전용면적 85㎡에서 120㎡까지 확대하는 등 오피스텔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고 있어 앞으로도 오피스텔에 대한 인기가 한동안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있다고 한다.
일단 경제금융용어 700선에 말하는 삼겹살이 오르니 닭고기를 사 먹는 것처럼 아파트가 여의치 않으니 오피스텔이 뜬다는 것인데, 먼가 서글픈 느낌이 드는 것은 왜일까 싶다. 나도 아파트 청약이 계속 똑똑 떨어져서 오피스텔 청약까지 넘봤던 몇 달 전 기억이 나더란다. 그런데 오피스텔도 참 비쌌던 기억이 새록새록 떠오르며, 경제적 자유를 향해 가는 것은 역시 급속도로 빠르고 쉬운 길은 없는 가 보다 싶어 진다.
'Economic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플레이션(deflation) (0) | 2021.12.09 |
---|---|
더블딥 (0) | 2021.12.08 |
대외의존도 (0) | 2021.11.15 |
단기금융시장(money market) (0) | 2021.11.11 |
낙수효과 (0) | 2021.11.08 |
댓글